별/APOD-Astronomy Picture of the Day

2012.11.17 Like a Diamond in the Sky

anna325 2012. 11. 23. 22:48

 

http://apod.nasa.gov/apod/ap121117.html

 

Like a Diamond in the Sky


Image Credit & Copyright: Alex Cherney (Terrastro, TWAN)

Explanation: A dark Sun hung over Queensland, Australia on Wednesday morning during a much anticipated total solar eclipse. Storm clouds threatened to spoil the view along the northern coast, but minutes before totality the clouds parted. Streaming past the Moon's edge, the last direct rays of sunlight produced a gorgeous diamond ring effect in this scene from Ellis Beach between Cairns and Port Douglas. Winking out in a moment, the diamond didn't last forever though. The area was plunged into darkness for nearly 2 minutes as the Moon's shadow swept off shore toward Australia's Great Barrier Reef and out into the southern Pacific. Ranging from 1/4000 to 1/15 seconds long, five separate exposures were blended in the image to create a presentation similar to the breathtaking visual experience of the eclipse.

 

하늘에 떠 있는 다이아몬드

 

지난 수요일(11.14) 아침 개기일식이 진행되는 동안 호주의 북부 퀸즈랜드에는 검은 태양이 떠 있었습니다. 해변가로 비구름이 몰려왔지만 개기일식이 시작되기 몇 분 전에 운좋게도 구름들이 여기저기로 나뉘어졌답니다.

 

케언즈와 포트 더글러스 사이의 엘리스 해변에서 찍은 이 사진에는 달이 빠져나가면서 찬란한 다이아몬드 반지 모양으로 밝게 빛나는 햇빛이 보입니다. 비록 이 다이아몬드는 몇 분 안에 순식간에 사라져버리기 때문에 영원하지는 않지만요.

 

달의 그림자가 호주의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호주 북동부 퀸즈랜드 연안 평행한 세계 최대 산호초)와 남태평양의 해변을 지나갈 때 이 지역은 2분 가까이 어둠 속으로 빠져들었습니다. 작가는 1/4000초에서 1/15초까지 다섯 번의 노출로 나누어서 찍은 사진을 합성하여 아주 멋진 일식 장면을  담아내었습니다.

 

달이 해의 99%만 가려도 주위가 어둑어둑해지는 수준이다. 하지만 100% 가려지는 순간, 대낮이었던 주변이 갑자기 밤이 되면서 하늘엔 검은 태양이 뜬다. 그리고 그 검은 태양이 뜬 하늘엔 별이 빛난다. 해가 가려지기 직전까지 순식간에 붉은 노을이 하늘을 물들이며, 기온이 갑자기 뚝 떨어져 서늘한 느낌이 들고, 새와 짐승들이 놀라 이리저리 날고 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검은 태양의 주변에는 이제까지 볼 수 없었던 태양의 대기인 코로나가 눈부신 흰 자락을 주변에 휘날린다. 짧게는 수 초, 길게는 몇 분간 지속되는 이 찰나의 순간은 인간이 경험할 수 있는 가장 강렬한 자연 현상이라고 감히 말할 수 있다. 개기일식은 지난 2010년 남태평양 이스터 섬에서 볼 수 있었고, 2012 11 12일에는 남반구의 호주 북부 지역에서 볼 수 있다. 만약 우리가 수 년 내에 통일이 된다면 2035년엔 평양에서 볼 수 있다. 그러니 아마 별 좀 본다는 사람, 또는 별 헤는 밤을 기다리는 사람들은 이날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으리라. 바로 사람을 홀리는 천체의 매력이다. 

-권오철 천체사진 작가